전통 이미지를 응용한 실용 소품 만들기
- 작성일
- 2008.03.04 17:44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47806
2007년도 특수분야 동계직무연수
전통 이미지를 응용한 실용 소품 만들기
해림공방대표 신경희
1. 한나라의 독창적인 문화는 정체성으로 그 나라의 모든 것을 대변해 준다. 또 독창적인 문화를 갖지 못한 나라는 그만큼 국제 사회에서 인지도가 낮을 수 밖에 없는데 이런 면에서 볼때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긴 역사와 풍부한 문화 자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문화 이미지 면에서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21C는 국제화, 개방화 시대가 가속화 됨에 따라 국가의 이미지가 더욱 중요시 되는 시대이다.
그리고 세계시장에서의 상품 경쟁은 단순한 기술경쟁 품질경쟁에서 문화적 부가가치가 높은 아이디어의 집약 즉 기술 집약적 상품 경쟁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와 문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독특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감각에 적합함과 동시에 한국의 이미지를 부각 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산업사회 속에서 문화유산의 정통성을 뒤로 한 채 우리의 생활양식은 서구화되어 가고 전통문화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전통은 뿌리와도 같아서 그것을 지키지 못한다면 우리의 문화가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
그래서 전통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그것을 현대적인 생활공간에 알맞게 끌어내어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국가 이미지를 고취 시킬수 있는 문화상품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이다.
선진 외국의 경우를 보자면 전통문화가 단절 없이 생활 속에 자연히 배어있고 이러한 풍부한 기반 속에서 현재의 디자인과 상품개발이 순조로운 반면에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풍부한 질적 자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는 데는 여전히 걸음마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상품 개발에 따른 상품 수요자와 공급자간의 원할한 욕구 충족이 필요하고 또 앞으로 해외시장과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의 독특한 문화유산에 바탕을 두어 현대적 기호와 감각에 맞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국제 경쟁력이 있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고 육성한다면 우리도 선진 외국처럼 생활 속에 자연스레 베어들어 전통의 멋이 살아있는 고유브랜드가 뿌리 내릴 수 있을 것 이하는 확신을 한다. (김 장원.2002)
2. 다음은 전통문양을 이용하여 현대적인 구성미가 돋보인 문화상품의 몇가지의 예를 들어보기로 하겠다
1, 보자기---넥타이나 가방
보자기는 우리나라 고유한 생활용품으로서 천으로 제작된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밥상이나 식지보와 같은 경우 기름종이를 재료로 하고 사각형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되었다
보자기는 사용계충에 따라 궁보와 민보로 대별되며 민보는 다목적용으로 만들어져 쓰인 반면에 궁중에서 사용된 궁보는 단일한 목적을 두고 만들어졌으며 그 제작방법에 따라 조각보 자수보 식지보 판보, 그림보 등으로 나눈다. 그 중에서도 조각보는 쓰다남은 자투리들을 활용하여 만든것이므로 그 조각천들의 면과 색의 구성은 현대 추상화에서 볼수 있는 고도의 기하학적인 결합으로 그 자체를 그대로 상품에 응용하여 만들어 볼수 있다
즉 보자기는 한국적이면서 현대 조형예술의 신선한 이미지를 그대 로 제공하고 있는 소재라 할수있다
한국공예논총(2001)
2. 한글---티셔츠, 가방 넥타이 등
한글은 우리문화 유산중 대표성과 홍보성이 강한 것으로 독창성과 께 과학적인 우리 고유의 문자이다. 15C 중엽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된 된 훈민정음은 한자와는 별개의 독창성을 가진 체계적인 문 자로 우주를 반영하고 있다. 자음으로 이루어진 초성과 종성은 하늘과 땅을 뜻하며 모음으로 이루어진 중성은 사람을 뜻한다 . 자음과 모음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한극의 하나하나는 그 자체로 독특한 조합성을 가진 우리 문화의 상징이다.
한글이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인 조형성을 바탕으로 한글의 단아하고 심플한 면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여 언어적 기행과 예술적 조형성을 추구하면서 디자인의 소재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한국공예논총(2001)
3. 학문양---러너나 스카프
학은 품격이 높고 귀한 존재로서 길상을 나타내는 새이다
인격과 권위를 상징으로 문관의 관복 흉배에 사용되었으며 정통회화나 민화 등 가릴것 없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학이 표상하는 길상적 의미는 장수이다. 즉 천지간에 아름다운 것만 취하여 그 몸을 보양하고 깨끗한 가운데 살아가기 때문이다
또한 신선이 학을 타고 날아다닌다는 믿음처럼 학은 초월과 승화를 상징하기도 한다
따라서 학은 구름문양과 함께 어우러져 단아한 한국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듯 디자인의 소재에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다
한국공예논총(2001)
4. 문살---신발 캐쥬얼가방, 공간에 치는 발 등
문살은 건축창호에서 살 짜임새에 따라 나타나는 무늬 장식의 하나로 일반주택, 궁궐, 사찰등의 모든 건물에 널리 씌였다. 그 중에 궁궐이나 일반 주택의 亞자문, 띠살문 등은 단아하고 정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으나 사찰법당의 문살은 매우 화려한 모습을 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법당문살 장식은 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그것은 꽃이 불가의 상징물로 진실을 뜻하며 꽃살문은 극락정토로 가는 통로로 생각하였다. 꽃의 종류를 보면 연꽃을 비롯하여 모란, 굴화, 해바라기, 백일홍 등이나 때로 정확한 이름을 알수 없는 관념적인 형태의 꽃들도 있다. 꽃살문은 살대에 이런 꽃들을 새긴 문살을 사방 연속으로 짜마춘 구조를 갖추고 있다 .꽃은 대개 6장의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혹 5장 내지 4장의 꽃잎도 보인다
한국공예논총(2001)
다음 그림은 본인의 작품인데 문살과 꽃살의 모티브를 이용한 공간막이 발작품 들이다
이 작품들을 만들어 전시회로 까지 가면서
나름대로 계획하고 준비한 내용들을 살펴보자면
첫째, 한국적 특성이 강한 전통 문화 소재들을 찾아 낸다
둘째, 현대적 감각과 한국적 정서에 맞는 모티브를 발췌한다
셋째, 독창성, 상징성, 경제성, 기능성, 조형성 등을 고려하여 한국적인 이미지를 충분히 살린 디자인을 개발해낸다
넷째, 한국적 특성을 가진 세련된 조형감각을 지닌 작품을 만들어 본다
아자(亞字)문양의 발의 전체와 부분
<그림 >연꽃문양의 발 2-전체<그림 > 연꽃문양의 발 1-부분
빗살문양의 발-전체와 부분
매화꽃 문양의 발
이상의 작품에서 적용한 문살 꽃살의 문양은 공교롭게도 모두 건축의 장 양식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 건축은 환경에 적합한 구성양식으로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이 속에서 문양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우리의 전통적 소재가 무궁무진한 문화의 산업화로 이어진다는 기대감을 가질수가 있었다
전통이미지를 응용한 실용소품 만들기
바늘방석의 변신 (쿠션만들기)
만드는법
*소재 -- 명주, 단, 무명이나 광목
*크기 -- 지름이 40/ 50/ 60센티 이내로 선택
(60센티이상이 되면 방석이 됨)
*준비물 -- 조각천, 캐시미론 솜, 감침용실 (견사 또는 면사),
장식용 술실, 두꺼운 실, 방안자
*모양 -- 정사각형 다섯조각을 이어 꽃을 만들고 중앙에 술로 장식한 다
앞 뒤 모양이 다섯장의 꽃잎 모양으로 같다
*만들기
1-조각천 잇기
조각천의 시접을 1센티로 다림질하여 꺾는다.이때 자를 대로 바늘로 한번긋고 손으로 꺾은후 다림질하면 시접이 깨끗이 꺾인다.
색상배열을 한후 두 개의 조각을 안과 안을 마주대고 겉에서 감침질한다. 이렇게해서 다섯장을 모두 붙인다--꽃잎 1
2-꽃잎 한 장을 더 만들어놓고 두장의 꽃잎 사이에 나머지 5조각을 이어부치고 한쪽면만 창구멍으로 남겨둔다
3-솜넣어 감침질하기
창구멍으로 솜을 탱탱하게 넣어 시침한 다음 감침질로 창구멍을 막아준다
4-징거주기
폴리에스티르 실 2겹을 긴 시침바늘에 끼워 앞과 뒤의 가운데
꼭지점과 옆의 5군데 꼭지점을 서로 통과시켜 징거준다
5-쌍밀이단추 또는 술 달기
가운데 꼭지점에는 쌍밀이단추나 매듭단추 또는 술장식을 한다